+
10대엔 10대라 힘들었고, 20대엔 20대라 너무 힘들었다.
왜 이렇게 시간은 무정형이지, 왜 이렇게 나는 휘청일까.
사소한 상처 따위는 신경도 안 쓰는 나이가 분명 있을텐데.
울음이 멈추는 나이가 나에게도 분명 올텐데.
그건 또 언제인가.
60이 되면 괜찮을 것만 같았다.
고요한 시간이 드디어 내게도 찾아올 것 같았다.
어떤 자극이 찾아와도 무심하게 고요하게.
+
쓴다는 것은 내가 세상을 이해하는 가장 중요한 방식 중의 하나이다. 생각을 시작했다. 가벼운 노트 하나와 연필을 늘 가방에 넣고 다녔다. 오랫동안 중단했던 생각이 톱니바퀴처럼 돌아가기 시작했다. 읽었던 책을 다시 읽고, 들었던 음악을 다시 듣고 사진들을 들추어 보았다.
(중략)
결국 잘 쓰기 위해 좋은 토양을 가꿀 수 밖에 없는 것이다. 잘 살아야 잘 쓸 수 밖에 없는 것이다. '쓰다'와 '살다'는 내게 불가분의 관계인 것이다.
- 김민철, 모든 요일의 기록
이 책은 읽으면서 정말 공감이 많이 되기도 했고, 도움을 얻기도 했다.
그 중에서도 가장 나의 마음 같았던 글귀를 다이어리에 옮겨 적었다가, 이 곳에도 가져왔다.
나와 비슷한 누군가가 이 글을 읽으며 위로를 받기 바라는 마음에서.
'이야기 > 모든 요일의 기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간단한 메모 겸 끄적임. (0) | 2016.07.16 |
---|---|
평일의 즐거움 찾기, 퇴근 후에 서점 들리기, 그리고 한 잔의 맥주 (0) | 2016.07.09 |
좋아하는 시와 몇가지 구절, 그리고 이야기 (0) | 2016.04.23 |
은희경 산문집, '생각의 일요일들' (0) | 2016.04.23 |
취하라 / 보들레르 (0) | 2016.04.23 |